전체 글223 연령별 뇌 발달이 '중요'한 진짜 이유 사실 초등학교 교과서를 살펴보면 교과 과정은 뇌 발달에 맞게 짜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수학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 때는 수 세기와 개념을 배우고, 4학년 때는 도형과 평행선의 정의 같은 추상적 개념을 배운다. 소아신경과 전문의인 해리 추가니(Harry Chugani) 교수는 뇌 신경세포의 포도당 소모량이 4세까지는 성인의 2배 정도이며 이 상태가 4~10세까지 유지되다가 10세 이후에 급속히 감소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따라서 왕성한 뇌 활동 시기인 4~10세에 교육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것이 5세 아이가 15세 아이보다 더 많이 더 쉽게 배운다는 의미는 아니다. 퍼트리샤 라키시(Patricia Goldman-Rakic) 박사는 시냅스의 안정화가 일어나 는 10세 이후에 더 많은 .. 2023. 11. 11. 이집트 미술이 '완벽'한 진짜 이유 '이집트 미술이 완벽하다'는 말에는 기술적인 완성도가 높다는 듯 말고도 한 가지 의미가 더 있습니다. 이론적 측면에서 체계가 잡혀있었고, 확실한 규칙이 존재했으며, 미술품을 제작한 사람이 그 체계와 규칙을 철저히 따랐다는 의미입니다. 회화와 조각 작품을 살펴보면서 고대 이집트의 미술가들이 그토록 소중하게 여겼던 규칙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규칙은 정면성의 원리입니다. 정면성의 원리는 고대 이집트인이 인체를 표현할 때 적용한 규칙입니다. 사람을 그릴 때 눈에 보이는 모습을 그대로 옮겨 그리는 게 아니라 그 사람의 본지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모습을 조합해서 그렸어요. 얼굴은 옆모습, 눈은 정면, 상체도 정면, 하체는 걸어가고 있는 측면으로 그렸습니다. 고대 이집트 유물에 그려진 인.. 2023. 11. 8. 유독 아이와 잘 지내는 부모들의 공통점 3가지 어린 시절 '의미 있는 타인'과의 특별한 경험, 즉 부모와의 관계에서 시작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어린 시절 부모와 안정적이고 활발한 감정 교류를 하지 못한 아이는 어른이 되어서도 사회성이 그대로 어린아이와 같은 상태, 즉 '어린아이'의 상태로 머무를 수 있습니다. 사회성은 인간의 행복을 크게 좌우하는 능력으로 아이의 삶에서 수학이나 영어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사회성 발달에 근간이 되는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조절하는 방법을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분위기가 있고, 실제로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대사인 부모조차도 아이의 정서발달보다는 인지발달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대체로 아이의 '지적 성취'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해 주고 있지만, '바람직한 정서 행동'에 대해.. 2023. 11. 8. 집중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이것'이 부족한거에요. 요즘 아이들은 디지털 미디어에 빠져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아이의 미디어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면 집중력이 대단해 보인다. 아무리 큰 소릴 불러도 전혀 들리지 않는 듯 대답은 커녕 미동도 없다. 그런데 이때 보이는 아이의 집중력은 공부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집중력에는 반응성 집중력과 초점성 집중력 텔레비전이나 게임, 디지털미디어 등에 몰입하는 것은 '반응성 집중력'에 의한 것이다. 반응성 집중력은 자극이 주어지는 대로 끌려다니는 수동적 집중력이고, 초점 성 집중력은 주체로서 나에게 필요한 주의를 유지하는 능동적 집중력이다. 반응성 집중력은 인간의 본능에 해당하는 호기심을 충족시킬 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집중력이다. 새롭고 신기한 자극이나 강한 자극을 접할 때면 누구나 집중한다. 반면 초점 .. 2023. 11. 7.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