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3 실패를 많이 해야 하는 '진짜'이유 자존감이 높을 수록 성공의 경험을 부를 가질 확률이 높고, 성공의 경험이 많을수록 자존감을 높일 기회가 많아진다. 앞서 말했듯 자존감의 높이는 태어나는 순간 고정되는 것이 아니다. 주 양육자의 태도를 주축으로 주변 사람들이 보내는 수많은 메시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아이의 자존감을 위해서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그것은 최대한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 즉 성공의 경험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나는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 그리고 어떤 시련이 오더라도 나는 이것을 해결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 이런 신념과 감정은 아이 깊은 곳에 숨어 있는 잠재 능력까지 불러내어 행동을 변화시키고 결국에는 성공을 부르게 된다. 이때의 성공 경험은, 다시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 2023. 11. 23. 감정을 공감해주는 '아빠'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요즘 아빠들의 모습은 전통적인 한국의 아버지와는 사뭇 다릅니다. 집에서 권위를 내세우고 엄하기만 한 아버지의 모습에서 벗어나 엄마와 함께 적극 적으로 아이와 소통하려는 아빠가 많아졌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많은 아빠가 자녀 교육에는 한 발 떨어져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마음은 그렇지 않더라도 바쁘게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아이들과 부대끼며 소통할 시간을 내기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빠가 아이와 얼마만큼 소통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행복도 비례합니다. 그만큼 아빠의 관심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큽니다. 아빠도 감정코칭을 할 자질이 충분하다.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역할은 대개 엄마가 많이 합니다. 아빠가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아주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서적인 부분을 메워.. 2023. 11. 22. 자존감이 높은 아이가 '창의적'이다. 자 여기 네 이름을 쓰렴 피터 레이놀즈Peter Reynolds 《점》이라는 그림책이 있다. 베티는 미술시간이 벌써 끝났지만 도화지에 아무것도 그리지 못한 채 자리에 그대로 앉아 있었다. 미술 선생님은 한참 베티의 빈 도화지를 바라보더니 "눈보라 속의 곰을 그렸구나" 하고 말했다. 베티는 오히려 화를 내며 "놀리지 마세요. 전 아무것도 못 그리겠어요"라고 말한다. 선생님은 어떤 것이라도 좋으니 그려보라고 부드럽게 말했다. 베티는 심술궂게 도화지 위에 연필을 내리꽂아 점 하나를 찍었다. 선생님은 도화지를 한참 보시더니 그 도화지에 "자! 이제 여기 네 이름을 쓰렴" 하고 말했다. 일주일 후 베티는 선생님 책상 위에 걸린 그림을 보고 깜짝 놀랐다. 자신의 점 그림이 금테 액자 안에 들어 있는 것이었다. 베티.. 2023. 11. 22. I. Q 보다 E. Q보다 'N. Q'가 진짜 중요한 시대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무수한 '관계' 속에서 살아갑니다. 특히 갈수록 복잡해져만 가는 현대사회에서 네트워크, 즉 사회성의 중요함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죠. 그래서 요즘은 I. Q 보다 E. Q가 아닌 N. Q(Network Quocienc, 인간관계지수)의 시대라 하여 아 이들에게 사회적 관계형성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요. 아이는 어릴 때부터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해 가며 삶의 폭을 점차 넓혀갑니다. 그렇다면 아이들의 사회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까요? 부모의 사랑을 표현하는 최고의 방법, '신뢰' 첫째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보다 생후 2년 동안 부모와의 애착 형성이 아동 발달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즉, 아이가 일상에서 격는 대.. 2023. 11. 22.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