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3

피카소는 상상이 사실보다 진실하다고 믿었다. 피카소는 상상이 사실보다 진실하다고 믿었다. 우리는 이제 존과 레슬리 스티븐의 학습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알게 되었다. 둘 다 과학, 철학, 문학, 역사의 분야에서 다른 사람 의 생각을 자신에게 '주입' 시키는 데는 뛰어났다. 그러나 둘 다 미술 이건 기계건 실제로 무엇인가를 행하는 능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그들에게는 취미가 없었다. 그들은 손으로나 마음으로나 무엇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한마디로 그들은 상상력이 부족했고 마음과 몸, 지성과 직관을 연결하는 능력이 결핍되어 있었다. 그들은 '사실'을 습득했지만 그것의 의미는 상상해내지 못했다. '알기'와 '이해하기' 그리고 환상과 실재를 분리시킨 교육은 그들의 총명한 머리를 한쪽만 쓰게 만든 것이다. 알기'와 '이해하기' 그리고 환상과 실재를 분리시.. 2023. 12. 21.
삶과 연결된 '교육'을 해야 하는 진짜 이유 교육에서 '무엇'과 '어떻게'의 결별은 곧 어떤 것을 '안다'는 것과'이해한다'는 것이 분리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학생들은 이해함으로 써 앎에 이르는 게 아니라 외움으로써 알게 되는 것이다. 물리학지식에 해박했던 존이나 문학에 관해서라면 모르는 게 없었던 레슬리 스티븐의 경우가 그렇다. 어떤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것을 실제로 '어떻게 응용해야 할지를 모른다는 것이며, 그것을 '어떻게' 다루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야 할지를 모른다는 것이다. 그들의 지식은 실로 허약하며 쓸모없고, 교육적 실패의 결과물에 불과하고 겉만 번지르르한 '학문적 성취'의 외장일 뿐이다. 한편 실재와 '환상의 부재'를 동일시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지금까지 말한 것들과는 반대되는 또 하나의 교육적 실패인데 지난 수 년간 관심.. 2023. 12. 21.
과학 vs 직감 직감이란 쉽게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유전학분야에서 노벨상을 받은 바버라 매클린턱 Balbara Mcclintodk이 젊은 시절 경험한 이야기 이다. 1930년 어느 날, 그녀는 코넬대학 주변의 옥수수 밭에서 동료 과학자들과 유전학연구를 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전체 옥수수의 절반 정도에서 열매를 맺지 못하는 꽃가루가 나올 것이라 예상했는데, 실제로는 삼분의 일 정도에서만 그 현상이 나타났다. 그 차이는 매우 중요한 것이어서 매클린턱은 무척 혼란에 빠져 있었다. 그녀는 옥수수밭을 떠나 언덕 위에 있는 연구실로 가면서 혼자 골똘히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30분쯤 후, 그녀는 펄쩍펄쩍 뛰며 옥수수밭으로 달려 내 려갔다. "유레카, 답을 알아냈어! 왜 불임 꽃가루가 30퍼센트밖에 안 되는지 알아냈.. 2023. 12. 20.
유연한 아이로 키우는 8가지 노하우 유연한 상상력은 마주한 문제나 과제, 심지어는 평범하고 흔한 물건이나 상황에 여러 가지 관점으로 접근해 다른 범주의 착상을 떠올리는 기술이다. 유연한 상상력을 가진 아이는 자신이나 남이 가진 고정된 사고방식을 깨트려서 문제를 새로운 관점으로, 심지어는 반대되는 관점으로 볼 수 있다. 혁신을 위해서는 '색다름'이 필요하다. 그래서 다른 종류의 아이디어를 내는 것, 즉 유연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연한 상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타인의 시선에 영향을 받지 않고 많은 아이디어를 거침침없이 내는 유동적 상상력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일단 많은 생각과 구상을 떠올려야 아주 다른 종류의 유연한 생각과 구상도 할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유연한 사고는 어떻게 길러줄 수 있을까? 유연한 사고를 위한 8가지 활동을 .. 2023.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