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3

말로 표현이 힘든 아이는 글과 그림으로! 부모들 사이에 대화를 어려워하는 유형이 있듯, 아이들 중에서도 유독 말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데 소극적인 아이들이 있습니다. "아이와 소통한다'라는 문장을 들으면 우리는 주로 아이와 부모가 마주보고 앉아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떠올리는데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데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거나, 상대 반응이 어떨지 걱정이 많은 아이에게는 말보다는 글과 그림으로 자신을 보여주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등 아이가 편안하게 느끼는 소통 방식을 찾도록 도와야 합 니다. 실제로 자유 글쓰기 혹은 그림 저널링(그림일기)은 사회정서학습의 대표적인 마음 표현 도구 중 하나인데요. 저널링은 아이가 자신의 마음을 풀어내는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보통의 글 쓰기 활동과는 조금 달리 철자나 맞춤법. 글의 .. 2024. 1. 5.
행복을 위해서는'이것'이 필수! 유아기의 뇌는 다양한 자극에 의해 매우 활발하게 발달합니다.특히 0~3세에는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한 애착 형성과 의미 있는 상호 작용으로 정서와 언어 능력이 계발됩니다. 하지만 뇌의 각 영역마다 발달 속도가 다르기에, 아이에게 주어지는 자극도 발달 속도에 맞게 주어야 합니다. 그 자극에는 아이들과의 놀이, 신체 활동, 교육과 학습도 포함됩니다. 아직 발달 시기가 아닌데 억지로 주어지는 자극이 때로는 발달에 방해가 되는 소음이 될 수 있습니다. 도파민 신경망이 공부를 위한 동기부여에 관여 합니다. 도파민은 몰입을 통한 성취를 가져올 수 있지만, 지나치면 과도한 경쟁의식과 비교의식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하고 앞으로만 달려나가는 욕구를 자극해 더 큰 칭찬, 더 큰 보상을 계속 바라게 만듭니다. 이러한 모습은 성.. 2024. 1. 4.
'이것'은 우울과 불안을 막아준다. 우울, 불안의 문제로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많은 사람에게 실시 하는 가장 기본적인 치료는 '정신치료'입니다. 상담과 대화를 통해 생각의 길을 바로잡도록 훈련하는 것입니다. 과연 상담과 대화로 치료가 될까요?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생각, 상상판으로 우리 뇌를 바꿀 수 있을까요? 뇌과학의 연구 초기만 해도 이는 비과학적인 방법으로 치부되었습니다. 자기 위로와 같은 효과일 뿐 실제로 뇌에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그런데 1990년대에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의 알바로 파스쿠알 레오네 Aharo Pasoual-Leone 교수는 상상으로도 뇌가 변화될 수 있다는 가설 을 검증하고자 나섰습니다. 피아노를 전혀 배운 적이 없는 두 집단을 놓고 한 집단에는 '정신 훈련을, 다른 집단에는 '신체 훈련'을 시킵니.. 2024. 1. 3.
사회성을 키우고 싶다면 '이것'이 열쇠! 공감과 사회성의 열쇠, 거울 뉴런 시스템 부모는 아이의 표정을 보면 어떤 마음인지 잘 알아 냅니다. 그런데 아이도 부모의 표정과 눈빛을 통해 부모의 마음을 읽어 냅니다. 이는 표정을 읽고 감정을 알아채는 것이 학습이 아니라 타고난 능력임을 알려주는 예입니다. 2020년 심리학회지 202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