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3

'이것'이 가짜 불안과 공포를 만든다. '스트레스 받는다'는 말은 어떤 의미일까? 요즘은 스트레스를 해결이 제대로 안되서 대인관계가 줄어들고 고립되는 느낌이 자주 느끼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아 졌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 뇌는 호르몬을 분비하면서 교감신경계를 조절합니다. 교감신 경계는 우리 몸 구석구석에 퍼져 있는 자율신경계를 말하는데, 혈관, 내장, 심장 등에 작용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에서 이를 위험한 상황으로 인지하고 경고음을 올리며 아드레날린 시스템을 작동시킵니다. 아드레날린 호르몬이 분비되면 각성하게 되고, 집중하게 되고, 활동력이 올라갑니다. 스트레스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기 위해 긴장 시키는 것입니다. 사실 자율신경계는 우리의 의지대로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땀 나지 마'라고 마음 먹는다고 땀이 안 날 수 없듯 말이죠. .. 2024. 1. 2.
'이것'이 반드시 충족되어야 행복하다. 건강하고 행복한 내 아이를 위한 뇌 발달을 이야기하는데 ' 도덕성'이라니, 뭔가 이상한 것 같나요? 도덕성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흔히 도덕과 행복은 공존 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도덕적 규율, 규제의 이미지는 자유, 행복과 상반된 이미지로 우리에게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행복의 필수조건 중 하나가 바로 도덕적 판단 능력과 도덕성입니다. 도덕성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둘로 나뉩니다. 인간은 왜 편피적이고 나쁜 행동을 하는가에 대한 연구와, 반대로 인간은 왜 선하고 좋은 행동을 하는가에 대한 연구입니다. 뉴스 보도를 보면 온갖 사회악의 모습이 많이 나오지만, 반면 많은 사람이 아무도 보지 않아도 남을 돕고 선행을 베풀며 살기도 합니다. 도덕적 욕구는 어떻게 발현.. 2024. 1. 2.
'칭찬'을 잘해야 하는 진짜 이유! "학생이 숙제하는게 당연한 건데 그걸 굳이 칭찬해 주어야 하나요? 칭찬을 자주해 주면 자만할까 봐 일부러 안 하는 것도 있어요." 우리 사회는 아직도 칭찬에 인색한 분위기입니다. 지금의 중년 부모들이 자라던 시대는 칭찬과 애정 표현에 참 인색했습니다. 공부를 특별히 잘하는 게 아니면 칭찬받을 일이 별로 없었죠. 정신의학과 발달심리학이 일반 대중에게 널리 소개되면서 칭찬과 선한 모델링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많아졌지만, 일상에서 내 아이에게 적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스킨십과 애정 표현을 많이 하라는 조언도 자주 듣지만, 실제 하려니 참 쑥스럽다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반면, 해외에 나가서 생활해 보면 미국이나 호주와 같은 나라에서는 좀 심하다 싶을 정도로 아이들에게 칭찬을 많이 합니다... 2024. 1. 1.
뛰어난 아이가 잊혀지는 '진짜'이유 모차르트의 아버지이자 교사였으며 멘토였던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탁월한 안내자였다. 적어도 처음 시작할 때는 그렸다. 레오폴트가 볼프 강에게 음악의 기본적인 소양을 가르치며 부와 명예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줌으로써 그의 음악적 발전이 한층 빨라졌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나중에 레오폴트는 모차르트에게 필요하지 않은 불필요한 짐이 되어 뒤로 처지고 말았다. 멘토는 어린 멘티에게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법을 가르치고 좋은 일자리를 갖도록 도우며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면서 멘티가 인생의 사다리를 하나씩 올라가게 돕는다. 두 사람의 목표는 멘티의 성공이다. (그리고 이것이 멘토 혹은 부모가 바라는 것이다.) 멘토는 현재의 기준 과 양상을 가르치며 이를 모방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나를 뒤에 두고 나에게서 멀어져가라. .. 2023.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