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렌은 독점욕이 강한 말썽꾸러기 여자아이다. 하루는 몇몇 아이들이 헨렌을 선생님에게 혼자서만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며 항의를 했다. 선생님이 자신을 타이르자 화가 난 헨렌은 소리치며 반항했다.
"싫어요! 이거 다 내 거에요!"
이기적인 성격의 아이는 대개 사람을 잘 사귀지 못하고 친구와 우정도 쌓기가 어려워 외톨이로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이기심이 심각한 문제나 질병은 아닙니다. 하지만 만일 당신의 아이가 그 무엇도 다른 사람과 나누기 싫어하고 혼자서만 차지하고 싶어 한다면, 향후에도 타인과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기는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가 이기심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나눔에 관한 의식을 심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해 하버드의 교육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실천해 볼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1. 아이에게 지나치게 베풀지 마세요.
아이가 맛있는 음식을 혼자만 먹으려 하고 다른 사람과 나누길 싫어한다면 이는 부모의 '과한'사랑과 밀접한 관련이 있죠. 많은 부모들이 자녀를 애지중지하는 하며 맛있는 음식이나 흥미로운 물건을 모두 아이에게 양보하곤 합니다. 그러다 가끔 아이가 부모와 나누려하면 "아냐,괜찮아"라고 말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것이 반복되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아이가 무언가를 혼자서만 누리려는 의식이 굳어지고 이를 당연하게 여기는 것이죠. 그러면 서서히 자신이 필요없을때만 "너 가져" 라고 말하게 되고 아이의 친구나 다른 사람이 보기에 배려가 없는 아이로 생각 되어 점점 사람들이 멀어져 가는 것입니다.
2. 아이만 특별하게 대우하지 마세요.
가족 구성원 간에 공평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이것이 아이의 '독점' 현상을 막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죠. 부모는 아이가 자신 외의 사람도 생각할 줄 알도록 가르치고, 다른 구성원들 역시 평등한 관계를 누려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해 주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집과 집밖에서의 괴리감을 줄이고 독재자처럼 굴지 않아서 친구들과 잘 지낼 수 있습니다.
3. 나눔은 잃는 것이 아님을 가르쳐 주세요.
아이가 다른 사람과 나누길 꺼리는 이유 중 하나는 나눔이 곧 '잃어버리는 것'이라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부모는 나눔은 잃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돕는 것이라는 개념을 잘 알려 주어야 합니다. 나눔은 다른 사람을 향한 나의 관심과 도움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내가 다른 사람과 나누면 그 사람도 똑같이 나에게 나눠 주고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이죠. 이러한 상호 간의 관심과 사랑, 친밀함을 배우게 된 아이는 인간관계 속에서 따뜻함과 즐거움을 느끼며 사회성이 성장 할 수 있습니다.
4. 나눔을 실천할 기회를 마련해 주세요.
아이가 친구들과 어울려 무언가를 직접 행동에 옮기는 활동을 자주하게 하면 좋아요. 혹은 아이가 부모를 도와줄 기회를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과일이나 케이크를 먹을 때 아이가 이를 접시에 나눠 담게 하고, 공평하고 합리적으로 배분할수록 더 많이 칭찬해 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다른사람들과 지낼 때 공평하게 조율하는 방법을 할 수 있습니다.
5.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 주세요.
모든 일에는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는 이야기도 있듯이 나눔도 마찬가지 입니다. 독거 노인이나 이재민에게 선물을 보내거나 기부를 하는 등 다른 사람에게 관심과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모습을 보여 주면 아이도 나눔과 배려를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참고 문헌>
하버드에서 배우는
내 아이의 표현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