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창적인 아이로 키우는 6가지 '예술 교육'

by lowen 2024. 4. 16.

 

 

 

아이들은 예술로 성장해야 합니다. 예술을 다른 어떤 분야보다 개인의 자유로운 생각과 독창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물론 인간이기 때문에 사회적인 정서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사람 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미적기준이 변화하며 개인이 가진 성향이나 감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예술의 특성입니다.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 보는 시간은 어린시절에 꼭 필요 합니다.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예술을 통합적으로 배운 아이는 자기표현 및 자신감이 성장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러면 아이에게 어떻게 예술을 가르쳐야 할 까요?

 


첫째, 생활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시간을 갖자.

잠깐 하던 일을 멈추고, 카펫, 가구, 책, 옷, 자동차 등 주변의 온갖 사물을 둘러 보자. 모두 누군가가 디자인하고 만든 물건들이다. 요즘 우리가 사는 물건들은 대부분 자동화공정으로 생산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창의적인 장인의 손에서 직접 만들어지곤 했다. 아이들에게 미적인 감성을 주변에서 발견하도록 보여주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자.


둘째,  자연과 주변에서 음악적 요소를 찾게 하자.

아이가 자연과 주변 환경에서 들리는 다양한 소리와 음악에 귀를 기울이고 반응하면서 소리와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자. 부모는 아이가 스스로 다양한 소리, 악기 등으로 음악의 셈여림, 빠르기, 리듬 등을 탐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부모는 아이의 다양한 느낌과 반응을 인정하고 존중하자.

"좋아하는 소리를 찾아보고 얘기해볼까?"

"왜 듣기 좋은 소리라고 느끼니?"

"계속 반복되는 부분의 소리를 찾았니?"

"어땠는지 한번 불러볼까?"

"못 찾았다면 다시 듣고 찾아볼까?"

 

셋째, 움직임과 춤 요소를 관찰 시켜보자.

아이는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몸이 움직이는 것이나, 자연과 주변 사물의 여러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이고 반응하면서 움직임과 춤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부모는 아이가 다양한 종류의 움직임과 춤을 보고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자. 그리고 그것을 따라 하면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관찰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가 날아가는 움직임, 고양이나 강아지의 동물의 움직임등 다양한 움직임을 따라 하고 그 차이를 느끼게 해 보자.


넷째, 미술적 요소를 찾아보자

자연과 사물에서 색, 모양, 질감, 공간 등에서 한 가지에 중점을 두어 다양함을 관찰을 하자. 예를 들어, 색 탐색인 경우 다양한 색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자. 그리고 특정한 한가지 색의 다양함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도록 하자. 공간 탐색을 할 경우에는 주위 환경이나 조형물 등에서 사물이나 인물이 놓인 상하, 좌우, 원근, 여백 등 공간감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자. 특히 거장의 미술작품은 다른 사람이 만들어낸 창의적인 결과물이다. 작품을 통해 다른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배우게 하자. 그리고 작품을 감상하고 즐기며, 느끼고 이해하면서 상상력을 키워주자.


다섯째, 혼잣말을 허락하자.

아이는 물아의 경지에서 자연이나 대상의 아름다움을 혼잣말로 표현할 수 있다. 아이의 혼잣말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과 내밀한 관계를 만들어낸다. 교육심리학자 비고 츠키Vygotsky는 상상놀이와 혼잣말에 대해 주목하면서 아이들이 혼잣말을 하는 것은 예술적 창의성의 기초가 된다고 했다. 4~7세 아이들은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 예술적 민감성이 있기 때문에 상상놀이를 하면서 스스로 그에 대한 적절한 비평을 할 수 있다.


여섯째, 역사적인 전통예술을 감상하게 하자

조상들이 입었던 의상의 역사적 유래와 특성, 사용했던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기능을 이야가하고 보여주면서 전통예술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자. 또한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춤과 미술작품, 음악을 보여주거나 들려줌으로써 전통예술에 관심과 친숙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전통음악이나 전통춤 공연을 감상하면서 장단이나 움직임을 따라 하도록 하거나, 도자기나 조각보 등을 관찰하면서 우리 고유의 아름다운
색과 패턴, 질감, 리듬, 움직임 등에 친숙해질 수 있다.

 

 

 

 

<참고 문헌>

창의력 육아의 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