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저녁까지 우리는 선택의 순간에 놓인다.현관문을 나서면서 운동화를 신을지 구두를 신을지 결정해야 한다. 알람 소리를 듣고 바로 일어날 것인가 아니면 5분만 더 잘 것인가? 이런 사소한 갈림길에서도 우리는 긍정적인 마인드로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자신감을 키우고 자존감을 세우는 데에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은 아이가 희망을 보게 하며 성공을 위해 노력하게 만든다. 부정적인 요소의 존재를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그 우울함 속에 빠지지는 않도록 마음을 다잡게 해 준다. 설령 어려움을 만 나더라도 기꺼이 이를 극복해 밝은 곳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 된다. 그런데 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긍정적인 면은 외면한 채 부정적인 면에만 집중한다. 가령, 아이가 수학 시험에서 몇 문제를 틀려 오면 혼을 내는 식이다. 틀린 문제에만 집중할 뿐 정답을 맞힌 나머지 문제들은 보지 못한다.
이런 관점은 아이의 자신감을 위축시킬 따름이다. 시험 성적이 좋지 않으면 실망하는 사람은 누구보다 아이 자신이다. 그러니 이럴 때 부모까지 덩달아 스트레스를 주지 말고 격려와 위로를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신이 친구들보다 못하다고 생각하는 아이는 늘 다른 사람이 "넌 안 돼"라고 말한 것만 기억한다. 한 번의 실패로 부모가 아이를 혼내거나 약점을 이야기하면 아이는 크게 상처를 받고 자기 비하를 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이것이 지속될 경우 아이는 자책감과 패배주의 심리가 강해져, 창의성과 진취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하버드의 교육 전문가들은 다음의 방법으로 아이의 긍정적 인 마음을 길러 줄 것을 권한다.
부모가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가져라
아이는 부모의 영향을 너무도 쉽게, 또 크게 받는다. 부모가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지니고 있다면, 아이 또한 아름다운 인생관을 바탕으로 자기 목표를 향해 자신감 있게 전진할 것이다. 주변 사람들과 함께 긍정적인 자세로 인간관계를 넓혀 가면서 긍정의 마음가짐을 전파할 것이다.
아이의 장점을 발견해 주어라
우리 아이에게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따뜻하면서도 객관적인 시선으로 아이의 가장 훌륭한 점을 찾아 주고, 아이가 이를 편안하고 즐거운 집안 분위기에서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도와주자. 이로 써 아이는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며 자신감을 얻고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분발할 것이다.
아이에게 상황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라
특정 사물이나 상황이 가진 양면성을 고루 알려 주되, 그중 가급적 긍정적인 부분을 발견하고 받아들이도록 이끌어 주자. 아이에게 단점이 있을 경우, 그 또한 긍정적인 시선으로 대하며 고치도록 도와주면 분명 개선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이는 앞으로 자신이 맞닥뜨릴 상황이나 어려움 앞에서도 긍정적인 부분에 보다 무게를 두고 거뜬히 극복해 낼 것이다.
<참고서적>
하버드에서 배우는
내 아이의 표현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