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핀란드 교육 개혁의 특별한 세 가지 특징!

by lowen 2024. 1. 12.

핀란드 교육의 역사적 시스템 변화

2차 세계대전 이후 핀란드 사회는 정치 불안과 경제 체제 전환으로 혼란 스러웠지만, 새로운 사상과 정책이 싹트는 시기이기도 했다. 특히 핀란드 국민들은 균등한 교육 기회를 강하게 열망했다. 무엇보다 노동자 계층이 자기 자녀들도 공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기 시작했다. 그 결과, 핀란드는 본격적으로 교육정책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다양한 정치 노선을 포괄하는 학교프로그램위원회가 200번이나 모여 회의한 1956년부터 1959년은 그야말로 격동의 시기였고, 이 위원회의 끈질긴 노력은 결국 국가 전체의 비전이 되었다.


이러한 시기를 거쳐 핀란드는 학생들을 인문계와 실업계 두 과정으로 나누고 민간이 관리하던 중등학교 중심의 교육제도를 정부가 관리하 고 기금을 대는 통합 교육 시스템으로 바꾸어나갔다. 이 방식은 1970년 대 후반 '페루스코울루'라 불리는 핀란드 종합학교 개혁을 실시한 직후에 등장한 후기 의무교육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일부에서는 재능이 뛰어 난 아이들이 하향 평준화될 것이라며 이 제도의 도입을 반대했지만, 종합학교 개혁의 세 가지 특징은 결국 핀란드 교육제도를 오늘날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핀란드가 경쟁력 1위를 가능케 한 핀란드 학교 개혁의 세 가지 특징?

첫째, 기회 균등의 원칙에 따라 모든 학생이 즐겁게 배율 기회를 제 공받을 수 있도록 완전히 새로운 교수법과 학습법을 개발한다.

 

둘째, 진로 지도와 상담을 필수교육과정에 포함시킨다.

 

셋째, 성격이 전혀 다른 학교 즉 학구적인 중등학교와 실습 중심의 공민학교에서 일하던 교사들 이 같은 학교에서 다양한 학생들과 함께 일한다는 점이다.

 


종합학교 개혁은 단순한 구조 개혁이 아니라 핀란드 학교의 새로운 교육 철학이었다. 이 철학에는 몇 가지 신념이 담겨 있다.

 

첫째 적절한 기회와 지원만 뒷받침되면 모든 학생이 배울 수 있다.

둘째 인간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배우는 것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교육목표가 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는 '작은 민주국가'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신념이다.

 

새로운 종합학교는 교사들로 하여금 기존과는 전혀 다른 교수법을 활용하고, 다양한 학생이 다양하게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교직을 사 회적으로 위상이 높은 직업으로 인식하게 했다. 이러한 변화는 대대적인 사범교육 개혁으로도 이어졌으며 직무능력개발과 연구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범교육 관련 법률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